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오늘:1,221|어제:1,870|전체:2,918,144|회원:8,365 (0)|게시물:22,588 (0)|댓글:59,530 (0)|첨부:11,714 (0)

물생활 관련 검역 총정리. (구피 및 일반 열대어, 코리 오토싱 메기류, 수초 등)

?

?

?

** 검역에 사용될 약품 정보**

물생활 질병관련 약품 총정리. (필수 약품과 선택 약품) 3

http://story.raraaqua.co.kr/index.php?mid=board_mXrQ14&search_keyword=%EB%A7%88%EA%B0%80%EB%A6%AC%ED%94%84&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142866

========================================

?

?

1.? 구피 및 일반 열대어 검역 팁.(새로운 개체 분양 받았을 때)

?

?

저는 검역어항이나 반찬통(스트레스 덜 받게 좀 넓고, 빛차단 시킴)을 따로 만들어서??

상황과 열대어 상태에 따라 약. 중. 강......3가지 방법중에 하나를 선택합니다.

(검역도중 이상있는 개체만 따로 격리. 살아남은 애들은 추후에 메인어항으로)

?

?

1. 검역강도 약 : 0.5% 소금물에 1~2일 정도 두면서 상황 봄.

?

2. 검역강도 중 : 0.5% 소금물에 1일, 설파설트린 약욕 1일 두면서 상황 봄.

?

3. 검역강도 강 : 0.5% 소금물 + 설파설트린 약욕 1일, 전체환수 후 새물로 일제(골든)엘바진 약욕 1일

?

4. 기타(약품없을 경우): 0.5% 소금물에 1일, 1% 소금물에 1일, 1.3% 소금물에 1일 두면서 상황 봄.

?

5. 기타(100%신뢰 + 약품X): 보조어항에서 1~2일 관찰후 메인어항으로 투입.

-------

?

예를들어 설파설트린은 기타 약품들보다 안전하고, 소금등과?병용해서 손쉽게 사용 가능하나
일제 엘바진은 발암물질이고, 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안되는 약품이라 꼭 어항을 덮어놔야 합니다.

또, 소금욕이나 기타 약품을 써서는 안되는 생물도 있고, 주의해야 하는 생물도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

===================================================

?

?

2. 코리나 오토싱, 메기류 등의 검역 팁.

?

?

먼저 최대한 정보습득하고, 여러 곳에 문의하고 확인해 봤으나, 이쪽 부분의 검역정보는

답변을 받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아시는 분도 별로 없어서, 그나마 나온 답변들과 제가 가진 정보를

합쳐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정말 한번 읽고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주로 제가 사용하는 검역방법은 위과 같으나, (구피 및 일반 열대어)?

이것은 코리나 오토싱, 메기류 등의 검역에 부적합한 약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소금,엘바진 등등)

따라서, 코리나 오토싱 메기류 등의 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 검역강도 약 : 비교적 강한 개체들이고, 잦은 질병이 별로 없기 때문에, 물맞댐 하면서 눈으로 확인.

?

2.? 검역강도 중 : 검역용 수조를 만들어 입양후 1~2일 지켜본 후 문제가 없는 개체만 메인어항으로 투입.

?

3.? 검역강도 강 : (3가지 방법 중 택1)

?

1) 설파설트린 약욕 1일 후 선별개체만 메인어항에 투입.

2) 메틸렌블루 약욕 1일 후 선별개체만 메인어항에 투입.

3) 설파설트린 약욕 1일 + 메틸렌블루 약욕 1일 후 선별개체만 메인어항에 투입.

?

설파설트린 검역 약욕의 경우, 1L 물에 설파설트린 0.1g 을 섞어 사용.

메틸렌블루 검역 약욕의 경우, 물1L에 고체 1g 녹인 메틸렌블루 용액-> 1L?물에 1~2ml 섞어 사용.

----------

?

이 정도로 하시면 될 것 같고, 약품 사용시 약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 습득후 사용하셔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병들거나 약한 개체를 선별해서 분양받으시는게 최우선이고,

특히 겨울에는 택배보다는 직접 분양하며, 믿을만한 곳에서 데려오셔야 합니다.

?

분양받을 개체가 살았던?이전 어항환경(수온, 먹이, 질병, 특이사항)을 반드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

- 혹시 본문의 내용에 대한 반론 및 조언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

?

3. 수초 식초욕 (검역 및 이끼제거 팁)

?

?

A. 수초 검역

?

수초 검역방법에 대해 알아보다가, 알게된 식초욕입니다.

주로, 수초 입수전 검역이나 입수후 나중에 이상증후(이끼, 달팽이?등)시 한답니다.

원래 락스욕도 식초욕과 방법이 비슷한데, 굳이 락스를 써야하나 싶어 논외로 하겠습니다.

?

?

1. 물과 식초 비율:?? 9 :1 정도, 10% 희석시켜 사용하면 큰 무리가 없다고 합니다.

?

2. 식초욕 시간: 10초~1분 정도 (상황에 따라 시간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음.) (처음엔 짧은 시간추천)

?

3. 주의사항:

?

식초욕 후에는 바로 맑은물에 수초를 담가 반드시 헹궈줘야 합니다. (세척필수)

또, 수초 검역이나 이끼제거 등 효과는 뛰어나지만,

강도가 강하거나,?식초욕을?오랜시간하게 되면?수초도 상하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

?

B. 수초 이끼제거

?

1. 물과 식초 비율:?? 9 :1 정도, 10% 희석시켜 사용하면 큰 무리가 없다고 합니다.

?

2. 식초욕 시간: 1분~3분 정도 (상황에 따라 시간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음.) (처음엔 짧은 시간추천)

?

3. 주의사항:

?

식초욕 후에는 바로 맑은물에 수초를 담가 반드시 헹궈줘야 합니다. (세척필수)

또, 수초 검역이나 이끼제거 등 효과는 뛰어나지만,

강도가 강하거나,?식초욕을?오랜시간하게 되면?수초도 상하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

물론, 수초 손상같은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초의 붙은 이끼들이 식초욕 후, 제거되거나 약해져서 다시 어항에 투입되었을 때

이끼제거 생물에게 먹힌다네요. (따라서, 식초욕과 이끼제거 생물의 공조가 필요함.)

?

모스류는 이끼류이기 때문에, 제외되어야 하는 방법이고,

이끼가 낀 수초상태를 봐서, 일부분 그냥 잎이나 줄기를 잘라버리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

?

위 내용은 참고만 하시길 바라며, 만약 하게 된다면, 가장 낮은 단계부터 한번씩 해보시고,

개인의 식초욕 노하우를 기르시길 바랍니다. 특히 식초욕 시간같은 경우, 사람마다 다 제 각각입니다.

검역이 목적이냐, 이끼제거가 목적이냐, 달팽이 제거가 목적이냐 등등 목적이 다양해서 그렇습니다.

  • profile
    [레벨:34]정보 2013.07.23 09:08 (*.111.111.111)
    아직 초보라서 한번도 안해본것들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레벨:22]마가리프 2013.07.24 01:01 (*.111.111.111)
    네. 물생활 초기에 이것만 잘해도 90%는 원인규명이 되지요.
  • pro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09.15 02:55 (*.254.62.151)
    검역은 정말 중요한것 같습니다
  • profile
    [레벨:22]마가리프 2013.10.14 21:42 (*.140.45.45)
    네 검역 하나만 잘해놔도, 나중에 무슨일이 생겼을 시 원인 파악하기가 수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 백점병 3일간의 기록 7 [레벨:6]서비 2012.11.29 35214
96 무환수로 어항 관리하기 11 [레벨:8]울트라맨이야 2012.12.16 36754
95 솔방울병의 무서움과 주기적인 환수의 중요성에 대하여... 1 [레벨:7]꼬기엄마 2012.12.17 38779
94 곰팡이병 치료후기 5 [레벨:6]물생활인 2012.12.19 31959
93 물이 잡혔는지 안잡혔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팁 3 [레벨:4]낚시광 2013.02.21 35643
92 스펀지여과기의 스펀지 똥물? 로 물잡을 시 주의사항 2 [레벨:22]마가리프 2013.02.22 38127
91 전염병으로 부터 치어를 건강하게 키우기 (팁) 1 [레벨:22]마가리프 2013.02.23 37798
90 새로운 개체 분양 받았을 때 검역 방법. 6 [레벨:22]마가리프 2013.03.04 35216
89 물고기 및 수질... 안정과 건강 3 [레벨:22]마가리프 2013.03.08 37778
88 나의 물잡이 팁.. 3 [레벨:13]애플 2013.03.16 35538
87 수돗물 잔류염소 제거 및 물갈이제, 박테리아제 사용팁. 1 [레벨:22]마가리프 2013.04.07 38152
86 탱크항의 PH 관리. 1 [레벨:22]마가리프 2013.04.23 38080
85 여과 박테리아 쉽게 확인하기 1 [레벨:4]낚시광 2013.04.26 33245
84 시아노박테리아 2 [레벨:12]히다 2013.04.30 34611
83 작은 어항 내 물 쉽게 잡는 방법. 1 [레벨:2]코리매냐 2013.05.05 33260
82 향균방법 1 [레벨:7]sjs4406 2013.05.09 39570
81 먹이 줄때 수질오염 줄이는 방법 1 [레벨:22]마가리프 2013.05.10 40342
80 환수 물 재사용 ^^ [레벨:44]승호사랑 2013.05.11 38565
79 꼬리녹음병(꼬리썩음병) 원인, 증상, 치료 팁! 1 [레벨:22]마가리프 2013.05.12 39338
78 PH 테스트 BTB용액 이용 1 [레벨:16]플루 2013.05.16 3562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 5 Next ›
/ 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