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오늘:1,881|어제:1,969|전체:2,914,931|회원:8,365 (0)|게시물:22,588 (0)|댓글:59,530 (0)|첨부:11,714 (0)
(*.254.62.151) 조회 수 21624 추천 수 1 댓글 4

햇빛은 날마다 먼 우주 공간을 날아와 지구를 비추어 줍니다.


햇빛은 돌덩어리 행성 지구를 따뜻하게 만들고, 커다란 바람을 일으키고, 바닷물을 하얀 구름으로 바꾸어 주지요. 하지만 식물이 없다면 햇빛의 요술도 여기서 멈추고 만답니다.


식물은 동물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어요. 동물은 다른 동물이나 식물을 먹어야 살 수 있지만 식물은 햇빛을 먹고, 햇빛에너지로 물과 이산화탄소를 요리해서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 내지요.


햇빛과 이산화탄소와 물만 먹고도 어떤 식물은 천 년을 살고, 어떤 식물은 공룡보다 더 크게 자랍니다.?


생각해 보세요. 이 세상에 풀과 나무가 얼마나 많은지. 들판과 숲과 길가에 자라는 수많은 풀과 나무들이 모두 햇빛의 힘으로 자란답니다. 식물이 햇빛을 먹고 자라면 곤충과 새와 짐승과 여러분이 식물을 먹지요.

도대체 식물은 어떻게 햇빛을 먹을까요? 식물이 어떤 요술을 부리는 걸까요??


? 식물의 녹색 잎 속에는 아주 조그만 요술쟁이가 살고 있어요. 이 요술쟁이는 햇빛을 좋아하고 햇빛과 아주 친하답니다.?


과학자들은 이 요술쟁이의 이름을 엽록소라고 지었어요.?


엽록소는 아주아주 작은 녹색 알갱이예요. 엽록소가 녹색이어서 나뭇잎과 풀잎이 녹색으로 보인답니다. 엽록소는 엽록체라는 방에서 살고 있어요. 식물의 잎은 수많은 세포로 되어 있고, 세포 속에 엽록체가, 엽록체 속에 엽록소가 들어 있지요.


ce11_10_i2.jpg


햇빛이 잎에 닿으면 엽록소가 잠에서 깨어나 빛에너지를 먹습니다.?

그러면 엽록체 방에서 물과 이산화탄소에 빛에너지를 듬뿍 섞어서 포도당을 만들기 시작하지요(뿌리가 땅 속에 있는 물을 빨아올리고, 잎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요). 포도당은 식물에게 밥과 반찬, 고기와 다름없답니다.

포도당이 변하여 줄기와 잎과 꽃과 열매가 되지요. 식물이 이렇게 물과 이산화탄소를 먹고 햇빛을 쬐어 포도당을 만드는 일을 광합성이라고 부릅니다


  • profile
    [레벨:12]히다 2013.11.01 09:20 (*.169.217.78)
    승호님~ 좋은 자료 잘보았어요 ~!'-'
    추천 파팍~!
  • pro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1 09:21 (*.243.15.4)
    감솨합니다 ~!!!!

    허접한 자료인데

    추천까지 해주시구 ^^
  • profile
    [레벨:12]히다 2013.11.01 09:25 (*.169.217.78)
    허접하다뇨~
    전혀 허접하지 않습니다 ~!
  • pro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1 09:55 (*.243.15.4)
    늘~~~~~~감솨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입문용정보 공지사항입니다. [레벨:0]정운 2013.08.09 56966
161 아직도 히터 설치 안하셨나요? ^^ 1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5 25511
160 초보자들이 실수하는 BEST ~ 3 [레벨:22]KwonZac 2013.11.15 23562
159 초등학생도 따라하는 물생활 팁 8 [레벨:22]KwonZac 2013.11.15 21416
158 열대어 사육에 좋은 양어장 사료 1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4 21140
157 저가용이나 기포가 잘 안나오는 스폰지 잘나오게 하는법 5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3 21657
156 스폰지 여과기 조립하기 3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2 21091
155 기생충 걱정없는 맛난 건짱 ^^ 11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1 21731
154 수온이 내려가면 출산을 미루는듯... [레벨:21]물질 2013.11.11 19634
153 흡착계, 영양계 소일의 차이점 5 [레벨:32]화랑유혼 2013.11.10 27410
152 자작 사료 햄벅 14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10 22870
151 오래된 브라인쉬림프 탈각하기 6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9 22455
150 가재의 질병 3 [레벨:60]눈물님 2013.11.09 21631
149 물생활 초보들을 위한 물생활 용어 정리 1탄! 24 [레벨:22]KwonZac 2013.11.06 20919
148 어항, 조명, 등커버 등 유리에 생기는 물때 지우는방법. 6 [레벨:22]마가리프 2013.11.05 22585
147 구피 바글모드 암놈에 난산 후 죽음 29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5 22413
146 입문시 수조와 기타 기구선택에 대해서 몇가지의 글입니다 11 file [레벨:13]눈치코치 2013.11.05 20607
145 자작이탄 위험성 (참고하시고 사용하세요) 9 file [레벨:32]화랑유혼 2013.11.03 30462
144 광합성이 대한 이야기 4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3 20281
143 여과재 종류셋팅 7 file [레벨:60]눈물님 2013.11.03 21087
142 골든볼 라미레지 3 file [레벨:44]승호사랑 2013.11.02 20170
Board Pagination ‹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 1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