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오늘:1,414|어제:1,073|전체:2,937,719|회원:8,365 (0)|게시물:22,588 (0)|댓글:59,530 (0)|첨부:11,714 (0)
2013.09.03 15:19

유동층 여과방식

(*.146.28.2) 조회 수 69082 추천 수 0 댓글 4

1325741648.jpg 5.jpg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유동층 여과재입니다

비중은 물과 같아서 처음에는 물위로 뜨다가 몇일뒤에 바이오필름이 장착되면 물보다 무거워져서

아래로 가라앉습니다

 

유럽에서 대량으로 고기를 양식하는곳에 많이 쓰이며, 몇년전 일본에서도 열풍이 불기도하여 여과기만 20만원 정도 했습니다

 

여과방식은 간단합니다 여과재만 움

 

직여 주면됩니다.

보통 많은분들이 에어호스를 이용한 콩돌을 사용하게되는데 그러면 물순환이 잘 되지 못할거같아 저는 수중모터로 사용했습니다

 

 

20130109_15002977.jpg

사진속에 왠만한 설명은 써놓은 상태입니다 ㅎㅎ

위에 레인바는 뭔가 싶어 하실꺼같아서 그냥 설명을 적었습니다;; 

 

7w 모터를 사용하고싶었지만 새로 구매하기는 좀 그래서  10w 모터를 쓰기로했습니다.

10w 협신 수중모터 입수구에는 16/22 외부여과기 호스와 거기에 다시 12/16 외부여과기 호스를 꼽아서 상단으로 각도를 좀 틀어줬습니다.

입수구에 중국산 스펀지 여과기 필터 쪼가리 2개 연결한겁니다~ 맞게 칼로 잘 잘라서 붙여놨떠니 꼭 1개같아 보이죠?ㅎㅎ

스펀지 필터가 치비가 빨려들거나 강한 입수구에 달라붙어 죽는걸 방지하고, 여과기능도 더 추가되었습니다~

 

standard.jpg kaldnes.jpg

비슷한 여과재로는 K1미디어가 있습니다

바이오 필름이 두껍게 정착하면 혐기조가 형성되어 질산염 감소에도 효과가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두껍게 쌓일려면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유동층 여과기가 돌아가는 방식입니다

  • profile
    [레벨:34]정보 2013.09.03 23:28 (*.82.10.31)
    유동층 여과기와 외부여과기 뭐가 다른가요? 형태말고 기능??
  • profile
    [레벨:60]눈물님 2013.09.03 23:49 (*.146.28.2)
    여과재부터가 다르죠
    유동층 여과기는 여과재가 계속 움직여야합니다 움직이지 않으면 효과가 없습니다
    그리고 유동층여과재의 바이오 필름이 가득생기면 질산염 분해도 가능하구요
  • profile
    [레벨:34]정보 2013.09.03 23:54 (*.82.10.31)
    외부여과기나 스폰지여과기는 질산염분해 안되나요? 유동층여과재가 질산염 분해가 잘되나요?
  • profile
    [레벨:60]눈물님 2013.09.03 23:58 (*.146.28.2)
    외부나 스펀지는 질산염 분해가 어렵죠~
    계속 산소가 공급되고 수류가 존재하니까요~
    저 이제 출석해야되요 ㅋㅋㅋㅋㅋ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 급하게 염소제거한 수돗물이 필요할때 2 [레벨:44]승호사랑 2013.06.24 40127
56 먹이 줄때 수질오염 줄이는 방법 1 [레벨:22]마가리프 2013.05.10 40596
55 CRS 새우를 키우는데 수조가 약산성이여야 하는 이유 3 [레벨:32]화랑유혼 2013.09.01 42088
54 pH에 대하여 2 [레벨:3]위지 2013.07.24 42418
53 베타 신체기관과 관리 2 [레벨:20]하늘천사 2013.09.25 42540
52 팝아이 4 [레벨:20]하늘천사 2013.09.25 42929
51 물생활 관련 검역 총정리. (구피 및 일반 열대어, 코리 오토싱 메기류, 수초... 4 [레벨:22]마가리프 2013.07.22 42942
50 배마름병 및 내부기생충 원인, 증상 및 치료 팁. 5 [레벨:22]마가리프 2013.07.18 43463
49 냉짱 주고 환수 꼭 하세여 1 [레벨:44]승호사랑 2013.09.14 44114
48 고농도 ph 시약 만들기 2 [레벨:60]눈물님 2013.07.16 44135
47 ph의 상승과 하락의 조절을 자유롭게 [레벨:60]눈물님 2013.05.22 44350
46 냉짱 & 그린달웜 먹인후 물관리 [레벨:44]승호사랑 2013.08.24 44943
45 [질병 발생시] 물생활 용품 소독법 및 멸균법. (어항 초기화 작업) 5 [레벨:22]마가리프 2013.10.19 45741
44 수조물이 왜 뿌옇게 되는가? (물잡이중 백탁현상) 6 [레벨:32]화랑유혼 2013.09.06 47141
43 물생활에 가끔씩 필요한 치료제 1 [레벨:0]무극 2013.09.06 48667
42 스폰지 여과기 응가물 처리하기 ^^ 3 [레벨:44]승호사랑 2013.08.24 49517
41 구피들이 수조 바닥에 몸를 튕기는 이유 11 [레벨:20]하늘천사 2013.11.19 49645
40 환수 주기와 환수 양에 따른 질산염 축적 비교. 3 [레벨:22]마가리프 2013.10.25 49978
39 물생활 관련 질병치료 총정리.4 (카말라누스, 마우스펀거스병, 솔방울병) 2 [레벨:22]마가리프 2013.10.06 50242
38 EM이란 2 [레벨:44]승호사랑 2013.09.16 50605
Board Pagination ‹ Prev 1 ... 2 3 4 ... 5 Next ›
/ 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