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오늘:2,333|어제:1,863|전체:2,957,286|회원:8,365 (0)|게시물:22,588 (0)|댓글:59,530 (0)|첨부:11,714 (0)

해결 안된 질문

구피들이 말라가고 힘이 없네요

좋은칭궁 2013.07.17 00:09 Given Points
추천 수 ( 0 )

자반어항에 구피와 플레티, 풍선몰리를 합사해서 기르고 있는데

구피들이 나무젓가락처럼 말라가고 비실거리다가 용궁으로 가는 경우가 있네요

지금 있는 구피들이 하나같이 말라 있고 힘이 없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답변등록

답변 (17)

재원 2013.07.17 02:03
현재 구피들은 병에 걸린듯 합니다.

혹시 아가미가 벌려지지 않았나요?

아가미가 벌려져있다면 칼럼나리스 입니다.

아주 치명적인 질병이며 전염성 또한 강합니다.

격리 시키시고 어항을 엎는 것을 고려해보셔야 합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좋은칭궁 2013.07.17 07:31
네 답변 감사 합니다.
그렇다면 구피만 전염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종인 플레티 종류와, 풍선 몰리들한테도 전염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치료 방법이 있다면 좀 답변 부탁 드립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눈물님 2013.07.17 10:18
말라가고 있다면 일단, 먹이는 잘 먹고있는지부터 확인해보세요
먹이부터 먹지 않는다면 말라가는건 당연한거고,
제가 예전에 키울때는 마우스펑거스병이였건, 피부썩음병이 걸리면 먹이를 잘 먹지못하여 말라 죽더군요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재원 2013.07.17 12:23
전 어종 동일 질병입니다.

칼럼나리스가 오면 솔방울병도 대부분 같이 찾아옵니다.

칼럼나리스는 어디든지 발병합니다.

보통 아가미에 발병을 많이 합니다.

칼럼나리스는 항상제와 염분에 약하다고합니다.

하지만 치사율이 높아 손을 쓰더라도 대부분 죽습니다.

즉 처음부터 수질 관리를 잘하셔야합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하늘천사 2013.07.17 14:44
병입니다

격리통에 옮겨 놓은 후 소금욕을 해주십니다

그 후 어항을 리셋 해주신후 다시 물잡고 여과력 높여주시면 됩니다

빨리 낳았으면 좋겠습니다

약욕을 할때는 무조건 탱크어항에서 하셔야 합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7 15:25
구피들이 하나같이 말라 있고 힘이 없는 원인에 대한 질문이시군요.

일단, 정보가 부족하여 질병 종류를 한판하긴 힘듭니다.

사진을 찍어 올려주시거나, 아니면 글로 다른 정보를 많이 주셔야 유추가 가능합니다.

1. 어항상태: 어항크기, 여과기 종류 및 개수, 생물 개수
2. 또한, 수조 세팅시기와 현재 물이 잡혀 있는지 여부
3. 구피 입양시기와 모든 개체에서 똑같은 현상이 나타나는지 여부
4. 외관상 특이사항과 특이한 행동 여부
5. 가지고 계신 열대어 약품
------------

써주시면 최대한 성실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우선, 질병마다 치료법이 다르지만 대부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게, 소금욕입니다.
일단, 그것 먼저 선행하시고 질병 여부를 판단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소금욕.

개체 전체가 이상이 있는게 아니라면, 반찬통 같은 곳에 격리 치료 하셔야 합니다.
(전염성 있는 질병일 경우 대비)

0.5% 부터 시작해서 12~24시간 주기로 0.9%, 1.3% 서서히 올립니다.
(1.5% 단계(위험)는 사용자 임의.)

약욕통 용존 산소량 늘리기. (콩돌로 에어 공급해주시면 좋습니다.)
약욕시는 생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검은 천으로 어항을 덮거나, 기타 자극을 줄인다.
약욕은 2주 가량의 장기적인 치료 계획으로 진행하며
(2~4일)마다 주기적인 50~80% 환수.
(약욕시 환수전 먹이투여하고 배설물을 받은 후 깨끗한 물로 교체)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승호사랑 2013.07.17 23:38
칼럼나리스 오면 솔직히 치료 포기하시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어항 다시 소독하시고 다시 셋팅하는게 여러모로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구피 그렇게 말라서 별짓을 다해봤는데
괜히 살아 있는 구피 더 스트레스 받는것 같습니다
임시항에 격리하시고 어항 다시 소독하는게 효과적입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좋은칭궁 2013.07.18 09:11
성실한 답변 정말 감사 합니다.
급한대로 증상이 보이니는 개체는 격리해서 측면 여과기 돌려주고 있어요
또한 치료 약품을 가지고 있는것이 없어서 소금욕을 시켜주고 있습니다.
전부 건질수는 없겠지만 일부분만이라도 살아 남았으면 좋겠네요
현재 어항 상태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어항 상태 : 자반 어항에 측면 여과기돌리고 있으며 풍선 몰리 8마리, 왁 플레티 6마리
미키 플레티 2마리, 삼각 플레티 4마리, 구피 20여마리 좀 과밀하게 키운듯 합니다.
2. 어항 셋팅은 약 2개월정도 되었습니다. 물또한 잘 잡혀 있는것 같고요
3. 구피 입양시기는 어항 셋팅 시기와 똑같습니다.
4. 전체적으로 아주 올쭉하네요 특히 배 뒤쪽부분 부터 꼬리까지 눈에 뛰게 홀쭉하고 꼬리 부분은
녹아 버리는것 같아요 평상시에는 먹이 활동도 활발히 하고 하지만 점점 행동이
둔해지고 결국은 용궁으로 가버는 개체수가 생기네요
5. 여러종을 함께 합사해서 기르고 있는데 유독 구피에게만 심하게 나타납니다.
풍선 몰리, 왁 플레티, 미키 플레티 종에는 그런 증상이 나타 나지 않고 있어요
삼각 플레티는 중도 탈락하는 개체수가 생기고요
지금까지 잘 관리하고 환수도 일주일 두번정도 시켜주고 했는데
무엇이 잘못되어 이렇게 되었는지 정말 안타깝네요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8 14:22
좋은칭궁/ 알려주신 정보로 유추해 보니, 대충 감이 잡힙니다.
지금은 시간이 좀 부족하고, 오늘까지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9 00:20
늦었네요. 정리하느라, 오랜시간이 걸렸어요^^:

어항상태를 적어주셨는데, 여과력 및 수질문제가 있습니다.
특히나 측면여과기는 여과력에 큰 도움이 안되고,
게다가 수조크기에 비해 과밀입니다. (다만, 잦은 환수로 근근히 유지만 되었을 뿐)

팁게시판에 제가 쓴 글을 참고하시고, 여과시스템을 바꾸셔야 합니다.
(저라면, 자반어항에 스펀지 여과기 3대 돌립니다.)(최소 2대이상)

어항 크기에 맞는 여과력을 구비하시고, 어항크기에 맞는 개체수를 유지하시고,
처음부터 다시 세팅한다는 마음으로 새물로 다시 시작할 것을 권장합니다.
어항 초기 세팅시 한달여간, 잦은 환수는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3~4일에 한번씩 30~40%)
한달 뒤부터 일주일에 한번, 10일에 한번 정도로 여과박테리아 증식을 유도.

어항 크기에 맞는 여과력 계산법과 과밀 계산법.
http://raraaqua.co.kr/shop/board/view.php?id=besttip&no=334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9 00:23
이제 구피 배마름의 원인 및 해결책 부분입니다.
------------------------

배마름병 및 내부기생충 원인, 증상 및 치료

1. 원인

주 원인은 수질악화와 병균 및 기생충 입니다. 외부개체가 들어오면서 기생충 및 병균을 가지고 들어왔을 수도 있고, 만약 들어오지 않았거나, 혹여 들어왔더라도, 잠복해 있다가 수질악화와 더불어 약한개체에 나타나는 경우 등.

배마름병의 원인 중에는 내부기생충도 있지만, 외부기생충(아가미흡충)도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기생충에 감염 되면, 먹이를 잘 먹지 못해 배가 마르고 탈색이 됩니다.
내부기생충의 경우, 양분을 뺏어먹어 배가 홀쭉해지게 하며, 흰똥을 싸는 것으로 주로 판별합니다.


2. 증상

먹이반응이 줄어들고, 배가마르고 활동량도 줄어든다.
(내부기생충의 경우 흰똥을 싼다. 평소 정상적일 때 가끔씩 싸는 흰똥과 구별)


3. 치료 (초기에 효과가 있으며, 배가 완전히 붙어버린 후기에서는 치료가 힘듬, 약밥 못먹는 상황)

- 공통사항
수조내 용존 산소량 늘리기. (에어레이션)
수온 올리기. (대략 29~30도) (대략 23도 이하의 저수온 피하기)
(2~4일) 주기적인 50~80% 환수.
(약욕시 환수전 먹이투여하고 배설물을 받은 후 깨끗한 물로 교체)
약욕시는 생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검은 천으로 어항을 덮거나, 기타 자극을 줄인다.
약욕은 2주 가량의 장기적인 치료 계획으로 진행,
완치된 상태 이후 1주가량은 치료지속(잠복기간).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9 00:24
A. 내부기생충일 경우

1) 젤콤 현탁액 (약국 대략 2,500원, 한상자에 15ml 2포) (알약 형태 아님)

약밥 만들기

현탁액과 물(1:10 비율)을 섞어서 분무기로 사료에 뿌리고, 드라이기나 자연 건조.
격리된 병어에게 하루 동안 3회 소량투여.
이후, 일반사료를 먹고 흰똥 대신 정상적인 똥을 싸게 되면 치료효과.

주의사항:
전염여부(병걸린 개체 배설물에 입질한 구피만 전염 가능성)
불임여부(확실히 증명된 사례는 없으나, 가능성이 있다고 하니 소량사용 권장)


2) BSD 메딕 플레이크 (용량: 15g, 대략 6,000원 정도)

등록성분량: 조단백 48% 조지방 10% 수분 7%
주원료: 어류단백질분, 효모단백질, 콩단백질, 곡류단백질, 알테미아, 전란, 유단백질, 플랑크톤, 스피룰리나, 메트로니다졸, 카로필(아스타산틴 계열), 레시틴, 바인더, 안정화비타민 C, 비타민&미네랄 혼합

플레이크 형태의 사료에 질병 치료제인 메트로니다졸을 첨가하여 물고기의 각종 질병 치료 및 예방. 물고기 체내에 각종 질병 유발 박테리아와 기생충 등을 제거하는 치료제.

복수병, 머리구멍병, 피하종양, 솔방울병, 바늘꼬리병, 헥사미타(구멍병), 옥토미타(장내질환) 등의 치료와 각종 내부 기생충의 구제에 효과적. (발색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몸이 야위어가면 기생충 의심)

사용법

1. 치료용으로 사용시는 5분 이내에 먹을 수 있는 양을 하루 동안 3회 투여.
2. 예방용으로 사용시는 1~2주에 1회 투여.

주의사항
광범위 항생제인 메트로니다졸이 함유되어 있고, 주사료로 사용금지, 하루 3회를 초과해선 안됨,
일부 무척추동물(새우류 및 달팽이류)에게 치명적이니 사용금지.

구입처 : 하이드로베이, 검색어(네이X 에서 메딕 플레이크 치고, 웹문서 쪽 사이트이동.)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9 00:25
B. 외부기생충일 경우

외부기생충(흡충) 증상 및 원인, 치료 팁. (참고)
http://raraaqua.co.kr/shop/board/view.php?id=besttip&search[word]=%C4%A1%B7%E1&no=312


C. 내부 및 외부 기생충일 경우

제가 팁게시판에 올린, 두가지 팁으로 병행 치료.

치료 예시: 일제엘바진 약욕 하면서 약밥투여 등.

배마름병 및 내부기생충 원인, 증상 및 치료 팁.
http://raraaqua.co.kr/shop/board/view.php?id=besttip&search[word]=%C4%A1%B7%E1&no=348

외부기생충(흡충) 증상 및 원인, 치료 팁.
http://raraaqua.co.kr/shop/board/view.php?id=besttip&search[word]=%C4%A1%B7%E1&no=312
-------

4. 기타 치료제

레바미솔 등.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19 00:36
그리고,

팁게시판에 있는 다음의 게시글을 보시고,
최소한 1. 설파 설트린 4. 골든 엘바진 은 구비하시는게 좋습니다.

물생활 관련 약품 정리. (필수 약품과 선택 약품)
http://raraaqua.co.kr/shop/board/view.php?id=besttip&search[subject]=on&search[word]=%BE%E0%C7%B0&no=41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좋은칭궁 2013.07.19 08:08
마가리프님 정말 감사 합니다.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되었고 많은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전 기르고 싶다는 마음하나로 약 3개월간 정성을 들여 잘 관리 해왔다고 생각 했었는데
그동안 정말 잘 못하고 있었다는걸 절실하게 늦끼고 있네요
구피들만 유독 심하네요 그래서 아예 구피전부를 격리 시키고 부족하지만 약욕 처리 중입니다.
풍선 몰리, 플레티 종은 아직은 괜찮은듯 합니다.
살아남는 개체가 몇마리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하는데까지는 해보겠습니다.
다시한번 마가리프님 정말 고맙습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좋은칭궁 2013.07.19 08:27
아숩지만 구피는 포기할까 생각중입니다.
아니면 전부 처음부터 재 샛팅까지 생각중입니다.
앞으로 여러 싸이트 웹문서등을 보면서 공부좀 해야할것 같네요
그동안 쉽게만 생각했던것 같아요
앞으로도 의문점이 있으면 많이 질문하겠습니다.
많은 도움 부탁 드립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
마가리프 2013.07.20 12:12
네. 저도 물생활 초반에 선셋마가리프 라는 팬시구피를 여러 질병으로 2주만에 전멸시키고
그때부터 약품구비와 질병에 대한 정보수집을 했답니다.

근데, 이번 질병에 대한 확실한 원인파악은 하셔야 다음에 또 이런일을 당하지 않습니다.

즉. 원인이 될 수 있는게, 수질악화 + 알파 인데,
그 알파가 내부기생충인지...외부기생충인지..혹은 기타의 것이지..

전염의 우려가 있는지 판별하여, 나머지 개체와 어항에 검역을 진행해야 합니다.
검역이란 것이 특별한 것은 아니고, 병어들의 치료법에서 약간 강도 낮게 해주시면 되지요.
검역을 제대로 안하면, 다음에 재세팅시에도 불안할 수 밖에 없답니다.
0 person rated this as good